전체 글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라우드 서비스 개념 클라우드에 대해 공부해보고자 인프런의 "AWS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 구축 이해와 해킹, 보안" 강의를 수강하면서 필기한 내용입니다.클라우드 서비스란?Saas(Software-as-a-Service)SaaS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서버에서 호스팅 서비스 형태로 제공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구축된 상태로 구축된 서비스를 임대하는 개념Pass(Platform-as-a-Service)자체 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것에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 형태애플리케이션 구축에 필요한 모든 요소(개발 도구, 인프라, 운영 체제)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집을 짓는 데 필요한 모든 도구와 장비를 빌리는 것IaaS(Infrastructure-as-a-Service)클라우드 제공 업체로부터 필요한 서버와 저장소를 임대클라우드 인프라로 .. 정보처리기사 필기 공부 방법 및 후기 공유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게 됐다.정보처리기사는 기사 자격증 중에서는 비교적 낮은 난이도로 비전공자분들도 많이 도전한다고 들었다.정보처리기사 필기 합격 기준총 5가지 과목과목 당 40점 이상과목 전체 평균 60점 공부 교재공부 교재는 양대산맥이라 불리는 시나공과 수제비 사이에서 고민했다.구글링과 아는 후배에게 얻은 정보들로 고민한 끝에 시나공 필기를 선택했다.수제비는 비전공자가 공부하기에 좋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고, 시나공은 수정이나 최신화가 굉장히 빠르다고 들었다.필자는 비록 전과생이지만 3년정도 공부했고 나름 전공자라 할 수 있기에 시나공을 선택했다. (지식 수준은 비전공자와 다를게 없다...ㅠ)그러나 평소에 암기에는 자신이 있었기에 암기 포인트가 많다는 수제비도 좋았을 것 같다. 교재는 연도별로.. Code Up [기초-반복실행구조] 6071~6076 6071 : [기초-반복실행구조] 0 입력될 때까지 무한 출력하기 입력: 임의의 정수가 줄을 바꿔 계속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단 개수는 알 수 없다. 출력: 입력된 정수를 줄을 바꿔 하나씩 출력하는데, 0이 입력되면 종료한다. (0은 출력하지 않는다.) while True: i = int(input()) if i == 0: break else: print(i) 6072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1개 입력받아 카운트다운 출력하기1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출력: 1만큼씩 줄이면서 한 줄에 1개씩 카운트다운 수를 출력한다. i = int(input()) while i != 0: print(i) i -= 1 6073 : [기초-반복실행구조] 정수 1개 입력받아 .. Code Up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6065~6070 6065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정수 3개 입력받아 짝수만 출력하기 입력: 3개의 정수(a, b, c)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0 ~ +2147483647 범위의 정수들이 입력되며 적어도 1개는 짝수이다. 출력: 짝수만 순서대로 줄을 바꿔 출력한다. a, b, c = input().split() a = int(a) b = int(b) c = int(c) if a%2==0 : print(a) if b%2==0 : print(b) if c%2==0 : print(c) 6066 : [기초-조건/선택실행구조] 정수 3개 입력받아 짝/홀 출력하기 입력: 3개의 정수(a, b, c)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0 =40: print("C") else : if i>=0: print("D") 6069 : [기초.. Code Up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3항연산] 6059~6064 6059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NOT 하여 출력하기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ex) 2 출력: 비트 단위로 1 -> 0, 0 -> 1로 바꾼 후 그 값을 10진수로 출력한다. ex) -3 i = input() i = int(i) print(~i) 6060 : [기초-비트단위논리연산] 비트단위로 AND 하여 출력하기 입력: 2개의 정수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 -2147483648 ~ +2147483647 ex) 3 5 출력: 두 정수를 비트단위(bitwise)로 and 계산을 수행한 결과를 10진수로 출력한다. ex) 1 a, b = input().split() a = int(a) b = int(b) print(a&b) 6061 : [.. Code Up [기초-비트시프트연산] 6046, 6047 6046 : [기초-비트시프트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2배 곱해 출력하기 입력: 정수 한 개가 입력된다. 단, -1073741824 ~ +1073741823 ex)1024 출력: 2배 곱한 정수를 출력한다. ex) 2048 a = input() a = int(a) print(a Code Up [기초-산술연산, 값변환] 6032 ~ 6045 6032 : [기초-산술연산] 정수 1개 입력받아 부호 바꾸기 입력: 정수 1개가 입력된다. ex) -1 출력: 부호를 바꿔 출력한다. ex) 1 i = input() n = int(i) print(-n) 6033 : [기초-산술연산] 문자 1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 입력: 문자 1개가 입력된다. ex) a 출력: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한다. ex) b i = input() n = ord(i) print(chr(n+1)) 6034 : [기초-산술연산] 정수 2개 입력받아 차 계산하기 입력: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ex) 123 -123 출력: 첫 번째 정수에서 두 번째 정수를 뺀 차를 출력한다. ex) 246 a, b = input().split() a = int(a) b = i.. Code Up [기초-값변환, 출력변환] 6025 ~ 6031 6025 : [기초-값변환] 정수 2개 입력받아 합 계산하기 입력: 2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ex) 123 -123 출력: 두 정수의 합을 출력한다. ex) 0 a, b = input().split() c = int(a) + int (b) print(c) 6026 : [기초-값변환] 실수 2개 입력받아 합 계산하기 입력: 2개의 실수가 줄을 바꿔 입력된다. ex) 0.1 0.9 출력: 두 실수의 합을 출력한다. ex) 1.0 a = input() b = input() a = float(a) b = float(b) c = a + b print(c) 6027 : [기초-출력변환] 10진 정수 입력받아 16진수로 출력하기1 입력: 10진수 1개가 입력된다. ex) 255 출력: 16진수(소문..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